리틀 걸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틀 걸》은 1978년에 개봉한 영화로, 13세 소녀 린 자콥스가 겪는 사건들을 다룬 심리 스릴러이다. 린은 아버지와 함께 영국 해변 마을에서 살던 중 집주인의 아들 프랭크의 성적 접근과 집주인 부인의 죽음을 겪게 된다. 이후 린은 자신의 비밀을 마리오에게 털어놓고, 그와 사랑을 키워가지만, 프랭크의 협박으로 인해 또 다른 살인을 저지른다. 영화는 조디 포스터가 린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으며, 아동의 독립, 아동 권리,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아동 성 상품화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공포 영화 - 파리의 늑대인간
《파리의 늑대인간》은 1997년 앤서니 월러가 감독한 공포 영화로, 파리에서 늑대인간에게 물린 미국인 앤디가 늑대인간 집단과 싸우며 저주를 풀고 세라핀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프랑스의 공포 영화 - 늑대의 후예들
크리스토프 강스 감독의 2001년 프랑스 영화인 늑대의 후예들은 프랑스 혁명 직전 제보당 지방의 괴수를 추적하는 왕실 박물학자의 이야기를 액션, 공포, 미스터리 등 다양한 장르로 혼합하여 구체제의 모순과 비밀 결사의 음모를 그린 작품으로, 프랑스와 미국에서 흥행에 성공하며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캐나다의 공포 영화 - 캔디맨 (2021년 영화)
니아 다코스타 감독의 영화 《캔디맨》은 1992년 동명 영화의 정신적 속편으로, 젠트리피케이션과 인종차별 메시지를 담아 캔디맨 전설에 매료된 예술가가 전설에 잠식되는 과정을 그린다. - 캐나다의 공포 영화 - 엑시스텐즈
2030년을 배경으로 생명공학적 장치가 전자 장치를 대체한 시대에 가상 현실 게임 '엑시스텐즈'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 1999년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SF 영화이다. - 메인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드림캐쳐 (영화)
드림캐쳐는 2003년에 개봉한 영화로, 텔레파시 능력을 가진 네 친구가 외계 생명체의 침공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스티븐 킹의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지만 비평과 흥행 모두에서 실패했다. - 메인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캐스퍼 (영화)
《캐스퍼》는 1995년 개봉한 미국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로, 유령 캐스퍼와 그의 삼촌들을 만난 상속녀 캐리건, 초자연 현상 전문가 하비 박사, 그의 딸 캣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흥행에 성공하여 CGI 기술과 출연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리틀 걸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레어드 코닉의 소설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
감독 | 니콜라스 게스너 |
제작 | 제브 브라운 |
각본 | 레어드 코닉 |
출연 | 조디 포스터 마틴 신 알렉시스 스미스 모트 슈먼 스콧 자코비 |
음악 | 크리스티앙 고베르 |
촬영 | 르네 베르지에 |
편집 | 이브 랑글루아 |
제작사 | 클레어몬트 프로덕션 제브 브라운 프로덕션 I.C.L. 인더스트리스 라 소시에테 필멜 입실론 필름 |
배급사 | 아스트랄 필름 (캐나다) 시네마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프랑스)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픽처스 (미국) |
개봉일 | 1976년 5월 |
상영 시간 | 91분 |
제작 국가 | 캐나다 프랑스 |
언어 | 영어 |
기타 정보 | |
예산 | CAD 1,100,000 |
2. 줄거리
할로윈 밤, 해변 마을에서 린 자콥스는 열세 번째 생일을 혼자 보낸다. 시인이었던 아버지와 단둘이 영국에서 이 마을로 이사 온 린은 집주인 코라 할렛의 아들 프랭크 할렛의 위협적인 접근을 받는다.
다음 날, 코라 할렛 부인이 린의 집을 방문하여 린과 아버지에 대해 캐묻는다. 린은 아버지가 뉴욕에 있다고 둘러대지만, 할렛 부인은 지하실에 있는 젤리 잔을 가져가겠다며 린을 압박한다. 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지하실 문을 연 할렛 부인은 그곳에서 무언가를 보고 충격을 받아 도망치려다 사고로 사망한다.
린은 할렛 부인의 방문 흔적을 지우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경찰관 미글리오리티의 조카인 마리오와 만나게 된다. 마리오는 린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녀를 돕는다.
미글리오리티 경관은 실종된 할렛 부인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며 린을 의심하기 시작한다. 린은 마리오에게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는다. 불치병에 걸린 아버지와 학대하는 어머니 사이에서 고통받던 린은 아버지가 죽은 후 어머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고, 어머니가 자신을 찾아올 경우를 대비해 아버지로부터 청산가리를 받았다는 것이다.
린과 마리오는 서로에게 의지하며 사랑을 키워나가지만, 마리오는 감기가 폐렴으로 악화되어 입원한다. 그 사이, 린의 집에 몰래 들어온 프랭크는 린의 비밀을 폭로하겠다고 협박하며 성적인 요구를 한다. 린은 프랭크에게 청산가리를 탄 차를 마시게 하여 살해한다.
3. 등장인물
배역 | 배우 | TV 아사히판 일본어 더빙 |
---|---|---|
린 제이콥스 | 조디 포스터 | 센도 아츠코 |
프랭크 할렛 | 마틴 쉰 | 마나츠 류 |
마리오 포데스타 | 스콧 자코비 | 미즈시마 유 |
할렛 부인 | 알렉시스 스미스 | 키타무라 마사코 |
론 밀리오리티 | 모트 슈만 | 코바야시 오사무 |
기타 | 마키 쇼코, 시마키 유코, 이치카와 치에코 | |
연출 | 카스가 마사노부 | |
번역 | 우츠키 미치코 | |
효과 | 아카츠카 후지오 | |
조정 | 야마다 타이헤이 | |
제작 | 닛페이 통신사 | |
해설 | 요도가와 나가하루 | |
첫 방송 | 1985년 6월 23일 『일요 양화 극장』 |
3. 1. 주요 등장인물
- 린 자콥스: 조디 포스터가 연기한 주인공으로, 13세 소녀이다. 아버지와 함께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주해 외딴 집에서 살고 있다. 자신만의 세계를 지키기 위해 주변 인물들을 경계하며, 필요하다면 극단적인 선택도 마다하지 않는다. 조디의 21세 된 여동생 코니 포스터는 조디의 대역으로 짧은 누드 장면에 출연하기도 했다.[1]
- 프랭크 할렛: 마틴 쉰이 연기한 린의 집주인 아들이다. 린에게 성적으로 접근하며 위협적인 행동을 일삼는다. 린의 비밀을 알아내려다 결국 린에게 살해당한다.
- 마리오 포데스타: 스콧 자코비가 연기한 미글리오리티 경관의 조카이다. 린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녀의 비밀을 알게 된 후에도 그녀를 돕는다.
- 코라 할렛 부인: 알렉시스 스미스가 연기한 린의 집주인이자 프랭크 할렛의 어머니다. 린의 집을 방문하여 린과 아버지에 대해 캐묻다가 우발적인 사고로 사망한다.
- 론 미글리오리티 경관: 모트 슈먼이 연기한 경찰관으로, 린을 의심하며 주변을 맴돈다.
3. 2. 기타 등장인물
Lester Jacobs영어[4]는 린의 아버지이자 시인이다. 영화 속에서는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린의 회상을 통해 그의 존재가 드러난다. 린의 아버지는 린이 어머니의 양육권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시키고 린이 혼자 살 수 있도록 조치한 다음, 조수가 시신을 바다로 실어갈 때 바다에서 자살했다.[4] 그는 또한 린에게 청산 칼륨 한 병을 남겼는데, 어머니가 린을 찾아올 경우 그녀를 진정시키기 위한 진정제라고 말했다.[4]린의 어머니는 린의 회상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린의 어머니는 학대를 일삼았으며, 린은 어머니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4] 린은 아버지에게 받은 청산가루를 어머니의 차에 넣고 그녀가 죽는 것을 지켜봤다고 마리오에게 이야기한다.[4]
4. 주제
이 영화는 아동의 독립과 권리, 그리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을 다룬다.[3] 린은 자신을 위협하는 어른들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이는 사회적 안전망의 부재와 그로 인한 비극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영화는 린과 마리오의 관계를 통해 십 대의 사랑과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린은 마리오에게 의지하며 자신의 어두운 비밀을 털어놓고, 마리오는 린의 아픔을 이해하고 그녀를 지지한다.[5]
5. 제작
''호수 아래층에 사는 소녀''는 몬트리올[11], 노울턴, 퀘벡 그리고 메인주[12](구체적으로는 오건킷, 메인주[11])에서 촬영되었다. 쉰은 촬영 현장이 편안하고 창의성을 북돋았으며, 포스터 또한 촬영 중에 그의 딸 르네 에스테베스와 우정을 쌓았다고 말했다.[11]
제작자는 "성적 묘사와 폭력"을 원했고, 이로 인해 린이 등장하는 노출 장면이 영화에 추가되었다. 포스터는 강력하게 반대하며, 나중에 "나는 촬영장을 떠났다"라고 회상했다. 그 결과 그녀의 언니 코니가 누드 대역을 했다.[13] ''택시 드라이버''가 개봉된 후, 업계에서는 ''호수 아래층에 사는 소녀'' 제작 과정에서 포스터가 갈등을 겪었다는 이야기를 공유했다. 그러나 게스너는 포스터가 그 장면을 촬영한 후에야 후회했으며, 삭제 요청이 캐나다 제작자에게 거절당했다고 주장했다.[5]
제작진은 할렛 부인의 죽음 장면을 위해 가짜 함정을 만들었지만, 게스너는 스미스가 그 효과에 대해 불안해했다고 인정했다.[5] 프랭크 할렛이 햄스터 고든을 죽이는 장면에서 쉰은 죽어 얼어붙은 설치류를 다루었고, 그것이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시도했다. 꽥꽥거리는 음향 효과가 추가되었다.[11] 죽은 햄스터는 동물 연구를 수행하는 병원에서 구했으며, 다른 장면에서 고든을 연기한 살아있는 햄스터는 제작 후 의상 디자이너에게 주어졌다.[5]
모트 슈만은 극중 미글리오리티 경관 역을 맡았으며, 실제 음악가였기 때문에 제작진은 슈만이 영화 음악을 작곡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슈만의 편곡가인 크리스티앙 고베르가 대부분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작곡가로 이름을 올렸고, 슈만은 음악 감독으로 이름을 올렸다.[5] 게스너는 폴란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레데리크 쇼팽의 음악을 사용하길 원했고, 그의 음악이 대화와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그는 쇼팽의 음악이 슬픔과 함께 희망과 속죄를 상징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5]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 E단조는 피아니스트 클라우디오 아라우와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의해 연주되었다.[14]
5. 1. 개발
레어드 쾨니히의 원작 소설은 원래 연극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어린 배우가 린 역을 장기간 맡을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무산되었다.[5] 이 영화는 캐나다와 프랑스의 합작으로 제작되었으며, 캐나다 정부의 영화 산업 세금 혜택을 받았다.[5]제작 자본가들은 소설에서 린이 할렛 부인을 독가스로 살해하는 것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고, 결국 이 장면은 죽음이 우발적인 사고로 묘사되도록 다시 쓰여졌다.[5]
5. 2. 캐스팅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은 영화 ''앨리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를 편집하던 중, 게스너가 그의 작업을 보면서 조디 포스터를 발견했다. 조디 포스터는 어머니 브랜디의 지도 아래 린 역을 맡았으며, 영화 촬영 중 13세가 되었다. 마틴 쉰은 게스너로부터 직접 프랭크 할렛 역을 제안받았는데, 이 역할이 흥미롭고 포스터의 장래를 긍정적으로 보았기에 수락했다고 말했다.5. 3. 촬영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영어는 몬트리올, 노울턴, 퀘벡, 메인주에서 촬영되었다.[11][12] 제작진은 "성적 묘사와 폭력"을 원했고, 이로 인해 린이 등장하는 노출 장면이 영화에 추가되었다. 조디 포스터는 강력하게 반대했고, 그녀의 언니 코니가 누드 대역을 했다.[13]5. 4. 음악
모트 슈만은 극중 미글리오리티 경관 역을 맡았는데, 제작진은 실제 음악가였던 슈만이 영화 음악을 작곡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슈만의 편곡가인 크리스티앙 고베르가 대부분의 음악을 작곡했으며, 작곡가로 이름을 올렸고, 슈만은 음악 감독으로 이름을 올렸다. 게스너는 폴란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레데리크 쇼팽의 음악을 사용하길 원했고, 그의 음악이 대화와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그는 쇼팽의 음악이 슬픔과 함께 희망과 속죄를 상징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6. 평가
자넷 마슬린은 뉴욕 타임스 기고문에서 이 영화가 포스터의 가장 자연스러운 아역 연기이며, 쉰은 무서웠다고 평했다. 또한 로맨스를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다.[19] 워싱턴 포스트의 게리 아놀드는 이 영화가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살인 음모는 "너무 뻔하고, 너무 부도덕하게 조작되어 만족스럽지 않다"고 주장했다.[7]
캐슬린 캐럴은 뉴욕 데일리 뉴스 리뷰에서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에 2개를 주며, "조디 포스터는 평소처럼 훌륭하게 린 역을 연기하지만, 그녀의 재능을 끔찍하게 낭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10대의 성관계를 용인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을 비판하며, 부모는 PG 등급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영화 관람에 신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25]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찰스 챔플린은 이 영화를 "비 오는 일요일이나 늦은 밤, 또는 휴가 중에 즐거움을 위해 읽는 얇고 빠른 소설과 정확히 같은 영화적 등가물"이라고 평가했다.[26] 버라이어티는 스토리가 믿기 어렵고, 로맨스가 몇 안 되는 긍정적인 측면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27]
타임의 크리스토퍼 포터필드는 이 영화가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에 접근하는 데 실패했으며, 그렇게 했다면 포스터의 연기와 결합하여 이 영화를 기억에 남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8] 주디스 크리스트는 뉴욕 포스트 리뷰에서 이 영화를 "평균 이상의 스릴러"라고 평가했다.[29]
토론토 스타의 클라이드 길모어는 조디 포스터가 복잡한 역할을 잘 소화했지만, 역할 자체가 각본에서 충분히 발전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30] 몬트리올 스타의 마틴 말리나는 "이 기묘한 어린 시절의 러브 스토리이자 살인 미스터리는 주연 배우의 연기에 매우 크게 의존하며, 포스터 양은 실망시키지 않는다"라고 썼다.[31]
몬트리올 가제트의 줄리 마스쿨리스는 포스터의 연기가 없었다면 영화가 그렇게까지 강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암시와 제안을 통해 서스펜스를 구축한 감독의 연출력을 높이 평가했다.[32]
오타와 저널의 프랭크 데일리는 이 영화를 "매우 가볍다"고 평가했지만, "포스터의 이름만으로 미국에서 흥행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3] 오타와 시민의 노엘 테일러는 이 영화를 "관습적으로 무서운 순간이 있는 소박한 스릴러"라고 부르며, 감독이 긴장을 부드럽게 구축한다고 덧붙였다.[34]
대한민국에서는 1985년 TV 아사히를 통해 "하얀 집의 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3] 한국 관객들에게는 조디 포스터의 어린 시절 연기를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3]
6. 1. 전반적인 비평
자넷 마슬린은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 영화가 포스터의 가장 자연스러운 아역 연기이며, 쉰은 무서웠다고 평했다. 또한 로맨스를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다.[19] 워싱턴 포스트의 게리 아놀드는 이 영화가 매력적이라고 평가했지만, 살인 음모는 "너무 뻔하고, 너무 부도덕하게 조작되어 만족스럽지 않다"고 주장했다.[7]캐슬린 캐럴은 뉴욕 데일리 뉴스 리뷰에서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에 2개를 부여하며, "조디 포스터는 평소처럼 훌륭하게 린 역을 연기하지만, 그녀의 재능을 끔찍하게 낭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10대의 성관계를 용인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을 비판하며, 부모는 PG 등급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영화 관람에 신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25]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찰스 챔플린은 이 영화를 "비 오는 일요일이나 늦은 밤, 또는 휴가 중에 즐거움을 위해 읽는 얇고 빠른 소설과 정확히 같은 영화적 등가물"이라고 평가했다.[26] 버라이어티는 스토리가 믿기 어렵고, 로맨스가 몇 안 되는 긍정적인 측면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27]
타임의 크리스토퍼 포터필드는 이 영화가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에 접근하는 데 실패했으며, 그렇게 했다면 포스터의 연기와 결합하여 이 영화를 기억에 남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8] 주디스 크리스트는 뉴욕 포스트 리뷰에서 이 영화를 "평균 이상의 스릴러"라고 평가했다.[29]
토론토 스타의 클라이드 길모어는 조디 포스터가 복잡한 역할을 잘 소화했지만, 역할 자체가 각본에서 충분히 발전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30] 몬트리올 스타의 마틴 말리나는 "이 기묘한 어린 시절의 러브 스토리이자 살인 미스터리는 주연 배우의 연기에 매우 크게 의존하며, 포스터 양은 실망시키지 않는다"라고 썼다.[31]
몬트리올 가제트의 줄리 마스쿨리스는 포스터의 연기가 없었다면 영화가 그렇게까지 강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암시와 제안을 통해 서스펜스를 구축한 감독의 연출력을 높이 평가했다.[32]
오타와 저널의 프랭크 데일리는 이 영화를 "매우 가볍다"고 평가했지만, "포스터의 이름만으로 미국에서 흥행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33] 오타와 시민의 노엘 테일러는 이 영화를 "관습적으로 무서운 순간이 있는 소박한 스릴러"라고 부르며, 감독이 긴장을 부드럽게 구축한다고 덧붙였다.[34]
6. 2.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대한민국에서는 1985년 TV 아사히를 통해 "하얀 집의 소녀"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3] 한국 관객들에게는 조디 포스터의 어린 시절 연기를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3]7. 수상
연도 | 상 | 부문 | 후보 | 결과 |
---|---|---|---|---|
1978 | 새턴상 | 최우수 호러 영화상 | 수상 [35] | |
1978 | 새턴상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조디 포스터 | 수상 [35] |
1978 | 새턴상 | 최우수 감독상 | 니콜라스 게스너 | 후보 [10] |
1978 | 새턴상 | 최우수 여우조연상 | 알렉시스 스미스 | 후보 [10] |
1978 | 새턴상 | 최우수 각본상 | 레어드 쾨니히 | 후보 [10] |
2017 | 새턴상 | 최우수 DVD 또는 블루레이 클래식 영화 출시상 | 후보 [36] |
8. 논란
영화 결말 부분에 린의 누드 장면이 있지만, 이는 당시 13세였던 조디 포스터를 대신하여 그녀의 친언니인 코니 포스터가 대역으로 촬영한 것이다.[1] 이 장면은 영화 개봉 당시에도 논란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아동 성 상품화 문제와 관련하여 비판받고 있다.
9. 기타
레이어드 코니히의 원작 소설은 가시마 쇼조의 번역으로 1977년 신초샤에서 『하얀 집의 소녀』라는 제목으로 대한민국에 출간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1976)
https://bbfc.co.uk/r[...]
2017-03-11
[2]
웹사이트
La Petite fille au bout du chemin
http://cinema.encycl[...]
Bifi.fr
2017-03-16
[3]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http://www.tcm.com/t[...]
2017-03-05
[4]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https://popmatters.c[...]
2017-03-06
[5]
AV media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commentary
Kino Lorber
2016
[6]
웹사이트
Recalling When Canada Was 'Hollywood North'
https://www.nytimes.[...]
2017-03-05
[7]
뉴스
Promising, Precocious 'Little Girl'
https://www.washingt[...]
2017-03-05
[8]
간행물
La Petite Fille au bout du chemin
Ligue française de l'enseignement et de l'éducation permanente
1977
[9]
웹사이트
Groundbreaking filmmaker was also a savvy businessman
http://playbackonlin[...]
2017-03-05
[10]
웹사이트
Overlooked Thriller Turns 40
http://hpr1.com/inde[...]
2017-03-06
[11]
AV media
Back Down the Lane: Martin Sheen on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Kino Lorber
2016
[12]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https://catalog.afi.[...]
2024-10-02
[13]
잡지
Kid Thriller
Hearst Corporation
1977
[14]
간행물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Division of Cinema of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77
[15]
웹사이트
Jodie Foster To Be Honored at the 2016 British Academy Britannia Awards
http://www.bafta.org[...]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2017-03-16
[16]
잡지
Cannes: Commercial Results
1976-06
[17]
웹사이트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The
http://www.bac-lac.g[...]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7-03-16
[18]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http://afi.com/membe[...]
American Film Institute
2017-03-16
[19]
웹사이트
Screen: But When She Was Bad...
https://www.nytimes.[...]
2017-03-05
[20]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DVD review
https://denofgeek.co[...]
2017-03-11
[21]
웹사이트
Disappearing Acts: Preminger's 'Bunny Lake' Still Entices, as Does Teenage Jodie Foster
http://www.villagevo[...]
2017-03-05
[22]
웹사이트
The best movies and TV shows coming to Amazon, HBO, and Hulu in November
http://www.businessi[...]
2017-03-06
[23]
웹사이트
What's New on Hulu: November 2016
https://vulture.com/[...]
2017-03-06
[24]
웹사이트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1976)
https://www.rottento[...]
2021-02-08
[25]
뉴스
Rynn's disorder: it's hardly kid's stuff
https://nydailynews.[...]
2023-11-09
[26]
뉴스
'Little Girl . . . ' a Compact Chiller
https://latimes.news[...]
2023-11-09
[27]
웹사이트
Review: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https://variety.com/[...]
2017-03-05
[28]
잡지
The New Waif
1977
[29]
간행물
The Little Girl Who Lives Down the Lane
Division of Cinema of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77
[30]
뉴스
Jodie's fine, film's wishy-washy
https://newspapers.c[...]
2023-11-09
[31]
뉴스
Film reviews
https://newspapers.c[...]
2023-11-09
[32]
뉴스
Jodie Foster and 'Little Girl:' A superb match
https://newspapers.c[...]
2023-11-09
[33]
뉴스
Little Girl best for TV
https://newspapers.c[...]
2023-11-09
[34]
뉴스
Thriller has its moments
https://newspapers.c[...]
2023-11-09
[35]
웹사이트
Past Saturn Awards
2007-06-08
[36]
웹사이트
'Rogue One,' 'Walking Dead' Lead Saturn Awards Nominations
https://www.hollywoo[...]
2017-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